격자 모양으로 사탕 바구니들이 놓여 있다. 격자의 맨 위쪽 행을 1행, 맨 왼쪽 열을 1열이라고 정의하며, 각 바구니는 그 좌표를 와 같이 나타낸다. 이때, 는 i행 j열에 위치한 사탕 바구니의 좌표를 의미한다.
각 바구니에는 사탕이 1개 들어 있거나,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다. 하지만, 사탕이 정확히 어느 바구니에 들어 있는지는 알지 못한다.
다만, 사탕의 배치를 유추할 수 있는 정보가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.
를 , 인 모든 자연수 순서쌍 중 사탕이 들어 있는 바구니의 개수로 정의하자.
단, 와 는 각각 이상 이하의 자연수이다.
이때 의 값은 아래 표의 행 열에 적힌 값과 같다.
행/열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0 | 1 | 2 | 3 | 4 | 5 | 6 | 6 |
2 | 1 | 3 | 4 | 5 | 6 | 7 | 9 | 9 |
3 | 1 | 4 | 6 | 7 | 9 | 11 | 13 | 13 |
4 | 2 | 5 | 8 | 9 | 11 | 13 | 16 | 17 |
5 | 2 | 6 | 9 | 10 | 13 | 15 | 19 | 20 |
6 | 2 | 7 | 11 | 12 | 15 | 18 | 22 | 23 |
7 | 2 | 7 | 11 | 13 | 16 | 20 | 24 | 25 |
8 | 3 | 8 | 12 | 14 | 18 | 22 | 26 | 27 |
다시 말해, 표의 행 열에 적힌 값은 인 모든 중 사탕이 들어 있는 바구니의 개수와 같다.
즉, 표의 4행 2열에 5가 적혀 있으므로 이며, , , , , , , , 중 5개의 바구니에 사탕이 들어 있다.
위 정보를 바탕으로, 각 바구니에 사탕이 실제로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복원해 보자.
O
가 적혀 있으면, 바구니에 사탕이 있음을 의미한다. 이 경우, 클릭하면 이미 들어 있던 사탕을 제거하게 된다.